아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데 얼마나 걸렸을까요?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본 적이 없는 제가 30분도 안 걸렸다면 믿어질까요^^.
물론 캐릭터 제작부터 애니메이션, 그리고 자막과 배경음악을 넣고 동영상을 추출하는 데까지 전체 과정을 포함하는 시간입니다.
만드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영상의 주인공 이름은 위고(Hugo)입니다. 최근에 읽고 있는 The Midnight Library라는 영문소설에 등장하는 한 인물입니다. 이 인물에 대해서 이 소설에서 묘사하고 있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a man with short hair and stubble two days away from a full beard, wearing designer shorts and a pink polo shirt.
위의 묘사 내용을 챗GPT 제작사인 Open AI가 제공하는 인공지능 이미지 제작툴인 DALL-E에게 입력해서 위고(Hugo)의 캐릭터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캐릭터 중에서 왼쪽 것을 Crop해서 사용했습니다.
참고로 DALL-E를 이용하여 그림 그리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Open AI 인공지능이 그린 "은퇴 후 행복한 모습"
최근 Open AI의 챗GPT 열풍이 어마어마합니다. 마치 2016년 포켓몬 고 (Pokemon Go)가 출시되어 전 세계를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었을 때가 떠오를 정도입니다. 저도 네이버 은퇴 관련 카페에 관련 글
smorning.tistory.com
캐릭터에서 수작업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작업은 대단히 손이 많이 가는 작업입니다.
전물툴을 배우기도 쉽지 않고 스킬을 터득했더라도 거의 노가다 수준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초보자도 쉽게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Animated Drawing이라는 사이트로 아래 링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https://sketch.metademolab.com/
절차는 매우 간단합니다. 사이트에서 "Get Started" → "Upload Photo"에서 자신이 만든 캐릭터 그림 (Jpg or Png 파일)을 올려주면 됩니다. 저는 위의 DALL-E가 그린 이미지를 올려주었습니다.
그러면, 간단한 자료제공 동의 과정을 거치고 제공된 이미지에서 캐릭터를 추출하는 과정 (Sperating Character)이 진행됩니다. 이 단계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제공되는 브러쉬로 추가/삭제를 해 줄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 자동으로 관절점을 추출해줍니다. 추출된 관절점은 마우스로 위치를 조정해서 수정도 가능합니다.
Next를 누르면 Motion Template들이 나타납니다. 각각을 눌러보고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Dance중에서 한 개를 골랐습니다.
이 단계에서 애니메이션이 마음에 들면 우측하단의 확대 버턴을 누르면 저장 메뉴가 나타납니다.
저장을 누르면 MP4 파일로 애니메이션이 자신의 PC로 저장이 됩니다.
매우 간단하죠.^^
마지막으로 이 MP4파일에 배경음악과 자막을 넣으면 원하는 영상이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영상을 만드는 부분은 또 다른 영역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매우 간단한 영상이기 때문에 저는 VLLO앱을 사용해서 순식간에 만들었습니다.^^
강력하고 유용한 툴(Tool)들은 주변에 널려있는데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게 개인의 역량이 된 시대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