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소랜 은퇴 연구소


이번 주 공부한 EBS '입이 트이는 영어'는 'Mastering Coffee"로 좀 가벼운 내용입니다...^^

 

Mastering Coffee

To me, coffee is like a friend I want to get closer to but can’t work up the nerve to approach. I tried an iced Americano out of curiosity because people I know drink it at cafés. But it was way too bitter for me. I wondered how people could enjoy a drink that tastes like oriental medicine.

 

Still, wanting to drink coffee, I trained my palate with caramel macchiatos. And by now, I’ve finally come to understand the true flavor of a café latte.

 

When I first visited coffeehouse chains, I used to order like I didn’t know what I was doing. It’s still not much different, but at least I can customize my order. I need to remember to order a tall, grande, venti, or trenta size without getting all mixed up.

 

 

커피 정복하기

내게 커피는 더 가까워지고 싶은 친구 같지만, 다가갈 용기를 내지 못하는 존재다. 나는 사람들이 카페에서 자주 마시는 것을 보고 호기심에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시도해 보았다. 하지만 내게는 너무 쓰디썼다. 사람들은 어떻게 한약 맛 같은 음료를 즐길 수 있는지 궁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피를 마시고 싶어서, 나는 카라멜 마키아토로 입맛을 길들였다. 그리고 이제야 비로소 카페라테의 진정한 맛을 이해하게 되었다.

 

처음 커피 전문점에 갔을 때, 나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처럼 주문하곤 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진 않지만, 그래도 이제는 내 입맛대로 주문할 수 있다. 톨, 그란데, 벤티, 트렌타 사이즈를 헷갈리지 않고 잘 주문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이 문장을 챗GPT에게 학습시키고 영어 문장 만들기를 위한 질문을 4개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아래는 제 대답을 서로 대화하면서 가다듬은 것입니다.

 


 

 

1. Why did the writer try an iced Americano?

(작가는 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려고 시도했나요? )

 


My Answer:
He thought coffee was like a friend he wanted to get closer to, so he decided to muster up the courage to approach it because many people around him drank iced Americanos at cafés.

 

Actually, a lot of young people in Korea like to drink iced Americanos even in cold winter. I think it has become a kind of symbol of the young generation. 

Maybe the writer wanted to join this feeling of being part of the young generation by enjoying coffee.

 

우리말 해석:
그는 커피를 더 가까워지고 싶은 친구처럼 느꼈고, 많은 사람들이 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걸 보고 자신도 용기를 내어 다가가기로 결심했어요.

 

사실, 한국에서는 많은 젊은 사람들이 겨울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신답니다. 이 음료는 젊은 세대의 상징이 된 것 같아요. 아마도 작가는 커피를 즐기며 젊은 세대의 일원이 된 기분을 느끼고 싶었을 거예요.

 


 

2. How did the writer train their palate to enjoy coffee?

(작가는 커피를 즐기기 위해 어떻게 입맛을 훈련했나요?)


My Answer:
At first, when he drank coffee, it tasted like oriental medicine, and it was way too bitter for him. But he still wanted to drink coffee and hoped to become familiar with its taste.

 

To achieve this, he needed to train his palate. So, he started with something light, like caramel macchiatos, which is a sweet type of coffee-based beverage. Thanks to his effort, he has finally reached a level where he understands the true taste of café lattes.

 

우리말 해석:
처음 커피를 마셨을 때, 커피는 한약처럼 쓰고 너무 쓴 맛이 강하게 느껴졌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피를 마시고 싶었고, 그 맛에 익숙해지기를 바랐죠.

 

이를 위해 입맛을 훈련해야 했고, 그래서 그는 카라멜 마키아토 같은 가벼운 음료부터 시작했어요. 카라멜 마키아토는 달콤한 커피 음료로, 그 덕분에 커피 맛에 익숙해졌답니다. 결국 그는 이제 카페라떼의 진정한 맛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어요.

 


 

3. What problem did the writer face when ordering coffee at coffeehouse chains?

(작가는 커피 전문점에서 주문할 때 어떤 문제를 겪었나요?)


My Answer:
When he first placed an order at a café, he almost didn't know how to do it, so he described it as "not knowing what he was doing."

 

I can understand this situation because there are lots of options to choose from, like the menu, size, and whether to have it hot or iced—things he might have been unfamiliar with. But now, he has improved and can at least order a customized option.

 

우리말 해석:
그는 처음 커피 전문점에서 주문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며 "뭘 해야 할지 몰랐다"고 표현했어요.

메뉴, 사이즈, 뜨거운지 아이스인지 등 선택할 항목이 많아서 그가 익숙하지 않았을 거예요. 하지만 지금은 조금 나아져서, 최소한 자신에게 맞는 주문을 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4. What do you think about the writer’s effort to enjoy coffee? Have you ever had a similar experience trying to get used to a certain food or drink?

(작가가 커피를 즐기기 위한 노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특정 음식이나 음료에 적응하려고 했던 비슷한 경험이 있나요?)


My Answer:
I had a very similar experience to his. Initially, I found the bitterness of coffee unappealing, but I soon realized that drinking coffee helped me wake up and start my day more efficiently in the morning. So now, drinking coffee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my daily routine.

 

I typically have at least two cups of coffee in the morning before starting work. However, I make a conscious effort to avoid coffee in the afternoon because it can cause insomnia at night. Anyway, I can’t imagine going a day without it.

 

우리말 해석:
나는 그의 경험과 비슷한 경험을 했어요. 처음에는 커피의 쓴맛이 별로였지만, 곧 커피를 마시면 아침에 일어나서 더 효율적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죠. 그래서 지금은 커피를 마시는 것이 내 일상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어요.

 

보통 아침에 두 컵 이상의 커피를 마시고, 그 후에 정규 업무를 시작해요. 하지만 오후에는 커피를 피하려고 노력하는데, 커피가 밤에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에요. 어쨌든 나는 이제 커피 없는 하루를 상상할 수 없어요.

 


 

재미있는 주제였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아내에게는 카페라테,, 그리고 저는 카페 알롱제를 한 잔 만들어 같이 마시고 하루를 시작했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